개발 공부 & 정리
[데이터베이스 첫걸음] 1장 데이터 베이스란 본문
데이터베이스 : 데이터 관리에 특화된 존재
데이터베이스의 기본기능 :
데이터의 검색과 갱신
- 검색 : 데이터 베이스에 가장 중요한 기능,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것
- 갱신 : 등록, 수정, 제거 등 데이터를 수정하는 기능
- 처리성능과 데이터 포맷에 유의
동시성 제어
데이터의 무결성 :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, 갱신할 때 무결성이 보장되야 한다.
동시성 제어를 통한 무결성의 정도와 사용의 편의성은 트레이드오프의 관계
더티쓰기란? 어떤 사람도 문제없이 파일을 열고 나중에 수행한 쪽으로 갱신이 반영되는 방식 → 데이터 무결성 관점에서 기피하는 경향
장애 대응 : 장애에 강할 것, 장애가 발생하였어도 복원할 수 있을 것.
- 데이터 소실 : 데이터베이스의 장애로 데이터가 사라진 것
- 데이터 다중화 : 복수의 장소에 분산해서 데이터를 유지, 완전한 소실 방지 (예방책)
- 백업 : 소실이 발생했을 때 데이터를 복원하는 방법 (사후 대책)
- 데이터 소실 : 데이터베이스의 장애로 데이터가 사라진 것
보안 : 보존된 데이터를 어떻게 숨길까
- 설계시 사용자에게 서버를 노출하지 않도록 설계
- 데이터 베이스를 절대 사용자에게 알려지지 않도록 기밀성을 높임
- 편의성과 보안은 트레이드오프 관계
데이터 베이스 종류
- 계층형 : 계층 구조로 데이터 관리
- 관계형 : 2차원 표 형식으로 데이터 관리, 가장 주류
- 객체지향, XML : 객체 혹은 XML 형식으로 데이터 관리
- NoSQL :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 기능 일부를 버려서 성능(처리 속도)를 향샹시킴. 대량의 데이터 고속 처리에 적합
'공부 > 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데이터베이스 첫걸음] 4장 데이터베이스와 아키텍처 구성 (0) | 2022.06.16 |
---|---|
[데이터베이스 첫걸음] 2장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 (0) | 2022.06.16 |
[SQL첫걸음] 36강 트랜잭션 (0) | 2022.06.16 |
[SQL첫걸음] 35강 정규화 (0) | 2022.06.16 |
[SQL첫걸음] 34강 데이터베이스 설계 (0) | 2022.06.16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