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발 공부 & 정리
웹의 데이터 형식 정리 본문
웹의 데이터 형식 정리
데이터 포맷 구분
- 텍스트 데이터 : 텍스트 에디터로 편집가능한 데이터 포맷 , 일반적 자연언어 (영어,한국어 ...) + 숫자 + 특수한 제어 문자 ( 줄바꿈 , 탭 ..) 로 구성
XML/JSON/YAML/CSV ... 웹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포맷은 텍스트 데이터 기반 (인코딩 주의 // 요즘 추세 : UTF-8 )
- 바이너리 데이터 : 문자와 상관없이 사용가능한 데이터 영역 활용 ( 메모리 데이터 영역 사용) , 일반적 텍스트 에디터로 확인 불가능 ,이진수로 구성 (시각적 확인 x)
+
텍스트 데이터 : 편집가능 + 설명을 포함할수 있기때문에 가독성높다.
바이너리 데이터 : 텍스트 데이터에비해 크기가 작다.
-
텍스트 데이터 : 크기가 크다
바이너리 데이터 : 텍스트 에디터로 편집 x & 어떤 바이트에 어떤 데이터 있다고 정의 필요
XML
텍스트 데이터 기반 , 데이터를 태그로 감싸 마크업하는 형식 >> 데이터를 계층 구조로 표현가능
데이터 계층 구조 :
데이터
-서브데이터
-서브데이터
>> 복잡한 데이터 표현가능
JSON (JavaScript Object Notation)
텍스트 데이터 기반의 가벼운 데이터 형식,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하는 객체 표기 방법 기반 MIME type = "application/json"
name/value 형태의 쌍 ( { name or key : value} ), 파이썬에서는 ( dict)
+
구조단순
YAML
들여쓰기를 사용해 계층 구조를 표현, JSON 대용으로 사용 , application 설정 파일 작성할때 많이 사용 (ruby & php)
CSV
구조가 단순 ,엑셀로 쉽게 만들 수 있다. (Comma-Separated Values) 각 필드를 쉼표로 구분, 1개 이상의 레코드로 구성 레코드는 줄바꿈으로 구분
인코딩 주의
'공부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 commit message (0) | 2021.02.01 |
---|